사진설명 = 좋은강안병원, 이진욱 과장 ERCP 시술 장면
국립암센터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암의 5년 상대생존율은 1993~1995년 42.9%에서 2014~2018년 70.3%로 크게 향상됐다. 위암은 44%에서 77%로, 폐암은 12.5%에서 32.4%로, 간암은 11.8%에서 37%로 높아지는 등 치료 성적이 개선됐다. 그러나 췌장암의 생존율은 1990년대 10.6%에서 2010년 8.5%로 떨어졌고, 이후 2018년 12.6%, 2022년 16.5%로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국내 10대 암 가운데 생존율이 가장 낮으며, 다른 암에 비해 향상 폭도 크지 않다.
췌장암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 진단 시 이미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약 80%에 이른다. 이 때문에 ‘침묵의 암’, ‘최악의 암’으로 불린다. 오는 11월 20일은 ‘세계 췌장암의 날’로, 좋은강안병원 소화기내과 이진욱 과장의 도움말을 통해 췌장암의 주요 위험 신호와 진단·치료법을 살펴본다.
■ 등 가까이 위치해 초음파로 발견 어려워
췌장은 음식물 소화에 필요한 소화효소를 분비하고, 혈당 조절을 담당하는 인슐린과 글루카곤 호르몬을 생성하는 소화기관이다. 십이지장과 맞닿은 머리, 중간의 몸통, 끝부분인 꼬리 세 부분으로 나뉘며, 이 중 머리 부위에서 전체의 약 70%가 발생한다.
췌장은 위 뒤쪽 깊은 곳, 등 가까이에 위치해 복부초음파만으로 발견하기 어렵다. 게다가 췌장암은 명확한 초기 증상이 없어 식욕 감소나 체중 감소, 복통 등 비특이적인 증상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췌장 머리 쪽에 암이 생기면 담즙 배출이 막혀 황달이 발생하며, 눈과 피부가 노래지고 소변이 짙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반면 몸통이나 꼬리 부위 암은 통증 없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췌장암은 췌관 점막세포에서 발생하며, 흡연자·만성 췌장염 환자·당뇨병 환자·가족력 보유자 등이 고위험군으로 분류된다. 특히 40대 이후 새로 당뇨가 발생하거나 기존 당뇨 조절이 갑자기 악화될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이진욱 과장은 “명치 부위의 불쾌한 통증이 지속되거나 당뇨가 급격히 악화될 땐 췌장 전체를 들여다볼 수 있는 복부CT 검사로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 항암화학요법 병행으로 증상 완화 가능
췌장암은 간수치 상승이나 종양표지자(CA19-9) 수치 증가 등 혈액검사 결과로 의심할 수 있으며, CT나 MRI 같은 영상검사로 진단한다. 영상에서 확진이 어려운 경우 내시경초음파(EUS) 검사가 도움이 된다.
이진욱 과장은 “EUS는 초음파가 장착된 특수 내시경으로 작은 병변까지 고해상도로 확인할 수 있어 조기 진단에 유용하다”고 설명했다.
췌장암이 간이나 폐 등 다른 장기로 전이되지 않고 국소 부위에 국한된 경우, 동맥 침범 정도에 따라 수술적 절제가 가능하다. 하지만 진행된 경우에는 항암화학요법을 통해 암의 진행을 억제하고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가 시행된다. 수술 후 재발 방지를 위한 보조 항암치료 역시 중요하다.
이진욱 과장은 “췌장암은 조기 발견이 어렵지만, 위험군은 정기 검진을 통해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며 “금연·절주·균형 잡힌 식습관 등 생활습관 관리가 가장 확실한 예방법”이라고 강조했다.